2.09 이슈 정리
https://www.ddaily.co.kr/news/article/?no=257017
중동 시장 두드리는 韓 디지털기업…"현지화 지원 거점 필요"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82876i
곧 망한다더니 양의지에 152억 '현질'…당신이 모르는 두산 [안재광의 대기만성's]
- 야구단 뿐만 아니라 반도체 후공정 업체 테스나를 4600억원에 매입
- 두산에너빌리티 -> 원자력 발전 설비가 크게 주목, SMR
- 가스터빈, LNG 액화천연가스를 태워서 발전하는 것, 요즘에는 가스만 연료로 쓰는게 아니라 수소를 일부 넣거나, 아예 수소만 태우는 수소 터빈으로 점점 발전
- 수소를 태우면 물밖에 안 나오기 때문에 수소를 주력 연료로 쓰자는게 세계적인 흐름
- 기체 상태인 수소를 액체 상태로 바꿔서 운송과 보관을 효율적으로 하는 수소액화플랜트를 지을 예정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 수소 드론 개발 중, 배터리로 충전하는 드론? 20~30분, 수소는 2시간 이상
- 작년 두산 밥캣 영업이익 1조원, 미국에서 통과한 IRA, 인프라 투자 강화, 리쇼어링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2082826i
"애플페이 한국 출시" 공식 선언한 애플…삼성페이 위협할까
- 다음 달부터 현대카드와 함께 애플페이 서비스를 먼저 선보일 것
- 애플페이는 삼성페이와 달리 NFC 기술이 있어야만 결제가 가능, 한국 도입이 미뤄진 원인
- 삼성페이는 NFC뿐만 아니라 MST(마그네틱보안전송) 기술도 함께 지원
- 스마트폰 시장에서 끼칠 파급력 -> 제조사의 간편결제 서비스 지원여부가 중요한 고려사안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2083002i
1기 신도시 특별법에 엇갈리는 명암…'특별법' 통한 개발 방식 비판도
- 1기 신도시 외에도 자격이 되는 택지는 똑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같은 지역에서 특별법이 적용이 되는 구역과 그렇지 않은 구역이 혼재돼 있기 때문이다.
- 소규모 노후 택지를 중심으로 "특별법으로 규제 완화를 해주는 탓에 역차별"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302082389i
[단독] '빌라왕' 매물 재임대한 HUG, 6개월 만에 "나가라" 통보
- HUG가 공실인 악성 매물을 활용해 경매전까지 수익을 내보려 했지만 유지·보수 비용으로 예상보다 수익이 나지 않자 계약을 종료했다는 분석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20837181
음료 꽉 차 있던 냉장고 '텅텅'…잘나가던 회사 발칵 뒤집혔다
- "임대료·간식비 아껴 월급 준다" 허리띠 졸라매는 스타트업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20814946
뉴욕증시, 파월 발언에 변동성 확대…나스닥 1.9%↑[뉴욕증시 브리핑]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2082851i
[마켓PRO] 다시 달리는 테슬라…초고수들 '추격 매수'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70145i
현대차 셋째딸이 공들였다…대기업 무덤서 1500억 '잭팟' [박동휘의 컨슈머 리포트]
- '파인 다이닝' 시장은 대기업의 무덤과 같은 분야
-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인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 두각, 레스토랑과 건물 위탁 운영을 결합한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로 흑자 경영 지속 중
- 외식 부문의 이익이 개선되면서 2021년에도 흑자 전환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2082231i
"맘카페에서 이 기업 모르면 간첩"…'따상' 예고한 공모주
- 유아기구 업체 꿈비가 '따상' 도전
- 최근 공모주 시장에서 네 차례 연속 따상이 이어지는 등 기업공개(IPO)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는 점도 호재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302082306Y
"기후변화 탓 항생제 안 통하는 슈퍼박테리아 확산"
- 기후 변화도 항균제에 내성을 갖는 슈퍼박테리아의 확산 요인
- 약제에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곰팡이가 늘면서 연간 사망자 수 약 500만명 증가
- 실제 기온 상승이 박테리아 증가율과 미생물 간 항생제 내성 유전체의 확산율을 높이는 등 환경 변화가 여러 경로로 약제 내성에 영향 미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81938i
공급 과잉 현상 겪는데 설탕 가격 급등한 이유는 [원자재 포커스]
- 설탕 가격 6년 만에 최대치
- 인도에서 수출을 금지하고 유럽에선 가뭄으로 인해 생산량이 또 줄어들 것이란 판단
- 사탕수수로 설탕을 제조하지 않고 에탄올을 생산하는 국가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
- 유럽에선 폭염과 가뭄으로 생산량이 급감한 뒤 설탕 수입량을 늘려야 하는 상황에 몰림
- 꿀 생산량 감소와 살충제 규제가 겹치며 설탕 수요가 폭증
- 주요 생산국인 태국에선 브라질과 인도에서 감소한 설탕량을 메우기 부족한 상황 선언
- 중국의 리오프닝 선언으로 수요는 급증할 전망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2081570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매파 거부한 파월…'발렌타인데이 CPI가 관건'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837031
신한금융, 순이익 4.6조…리딩뱅크 탈환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83469g
리오프닝에 백화점 장사 잘했다…신세계 지난해 '최대 실적'
- 영업이익이 전년에 비해 25% 증가,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141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7.6% 줄음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82359Y
소프트뱅크, 작년 4분기 7.4조 손실…비전펀드 손실이 주요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21111?sid=105
구글이 챗GPT 대항마 공개한 지 하루 만에 AI 검색 꺼낸 MS
- MS, AI 결합한 검색엔진 '빙' 새 버전 공개
- 챗 GPT보다 더 뛰어난 '프로메테우스' 언어모델 적용
- 구글이 챗GPT의 대항마로 '바드'를 내놓겠다고 밝힌지 하루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66446?sid=105
SKT AI '에이닷'에 챗GPT 접목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22438?sid=101
SK온, 튀르키예 배터리 공장 프로젝트 결국 물 건너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