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6 이슈 정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3451
"月 100만원 벌다 이젠 2억"…30대 사장도 놀랐다
- 쿠팡 플랫폼의 힘
- 전년 동기 대비 중소 사업자 상품 증가율이 276%에 달함
- 마켓플레이스는 쿠팡이 직매입하는 '로켓' 상품의 등용문 역할을 하면서 시너지를 구현 중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502651
中 "작은 거인 육성"…증권사 6곳이 '강추'한 항저우실란
- LED칩과 전력반도체 사용되는 소형 웨이퍼 생산 세계 2위
- 반도체 + 강소기업 투자 포인트, 매출과 영업익 폭발적인 증가세
-----> "게임은 정신적 아편이다." 중국 정부와 싸우지 마라 But 중국 정부가 밀어주는 기업에 투자하면 이익을 얻을 확률 높아짐
1) 전력소자 집적회로(IC) LED(발광다이오드)칩 등을 생산, 6인치 이하 소형 웨이퍼 생산 규모는 세계 2위
2) 중국에서 몇 안 되는 종합반도체기업(IDM)이기 때문, 자체 기술로 반도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두 담당
---> 반도체 대란, 거기에 중국 정부가 팍팍 밀어줌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58727i
'테슬라도 제친' 수익률 1위 '암호화폐'…"정부는 개념도 지침도 없다"
- 세계 곳곳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매입에 서둘러
- NFT 호황, 엘론 머스크도 참전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4181
"100세 시대에 이만한 게 없다"…외국인까지 가입 러시
- 국민연금에 일찍 가입하면 은퇴 후 연금 수령액이 크게 증가
- 민간 연금 상품보다 보장 수준이 높은 국민연금이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국민연금테크'에 나서는 사람이 크게 늘어 올 6월 말 기준 120만 명에 육박
-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급액이 더 많아지는 구조기 때문에 국민연금에 가입할 의무가 없는데도 보험료를 내는 '임의가입자'는 38만 4144명
BUT'
- 국민연금 개혁이 가장 큰 변수, 2057년께 국민연금이 고갈될 것으로 추정 하지만 더 빨라질 것
- 그래도 국가가 보장하는건데 안전하다가 전문가의 의견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159431i
베이징증시 개장…전기차부품사 500% 이상 폭등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 베이징거래소는 기존 베이징에서 운영되던 중소기업 전용 장외 주식 시장인 신싼반의 '기초층', '창신층', '정선층' 등 3그룹 중 가장 우량한 그룹인 정선층 기업 71개 이동, 새로 10개 종목 상장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11124611i
'한남'부터 '설거지'까지…혐오는 따라하기를 좋아한다 [노경목의 미래노트]
--> 혼자서 차분히 판단하면 얼마든지 맞출 수 있는 쉬운 문제도 옆에서 다른 사람이 강하게 이야기하면 틀릴 정도로 쉽게 판단력이 흐려진다는 실험
---> 인지가 아니라 뇌에 영향을 받는 것
- 사람들 사이의 생각이 모방을 거듭해 커다란 흐름으로 자리 잡는 것을 '사회적 눈사태'라고 표현
https://www.hankyung.com/car/article/2021111502461
전기차 내수판매 한국 7위…작년의 두배 육박
- 현대기아차, 전기차 세계 5위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11125141i
"코인 투자 설명회 다녀왔다는 부모님…이것부터 확인해야" [최예린의 사기꾼 피하기]
- 다단계 업체들.... 워렌 버핏, 제임스 카메론... 유명인사 명언 좋아해
- 가입 금액 독촉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9885g
"올해만 10억 벌었다"…'대세' 광고 모델, 가방 들자 또 완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674Y
아시아나항공, 화물로 3분기 '깜짝실적'…영업익 작년의 28배
- 유가 상승으로 연료 유류비가 작년보다 82% 증가, 매출 증가로 흑자를 내는데 성공
- 3분기 흑자는 화물 사업이 견인함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596Y
식품회사들, 원자재·물류비 부담에 3분기 실적 '부진'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552Y
정부 "탄소소재 기술력 선진국의 80% 수준…자립화 집중지원"(종합)
- 탄소소재 산업은 탄소원료로 탄소섬유, 인조흑연, 그래핀 등 우수한 물성의 소재를 생산하고 수요산업에 적용해 제품성능을 높이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 세계 탄소소재 시장은 2019년 52조원 규모에서 2030년 176조원 규모로 연평균 11.8% 성장할 것으로 예상
- 탄소섬유 분야에서 일본, 미국, 독일에 이은 세계 4위 선진국 대비 80% 수준의 기술력 확보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494Y
코오롱, 3분기 영업이익 918억원…작년보다 65.1% 늘어
- 코오롱글로벌 건설 부문의 주택, 건축사업 확대와 유통 부문 차량 판매 증가 등의 영향으로 매출 증가
-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산업자재 및 화학 부문에서 이익증가세
- 수소사업 중심의 미래 신사업과 친환경 사업에 적극적인 투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4101
"차라리 돈 더 주더라도 명품"…추락하는 '매스티지' 브랜드
- 국민 소득이 높아져 명품이 대중화
- 럭셔리와 초저가 브랜드로 양극화되는 소비 트렌드가 코로나19사태로 심화
-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것도 가장 큰 원인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3111
탄소중립, 포집 기술에 달렸다
- CCUS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땅속 또는 해저에 저장하거나 화학 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2471
동국제강, 13년 만에 최대 실적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2481
"옵션은 나중에 붙여줄게"…럭셔리카 대신 '옛날車'가 왔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2441
친환경차 전기강판에 1조 투자…포스코, 생산능력 4배로 확대
- 전기강판은 전기 및 자기를 응용한 기기에 사용되는 철강제품, 변압기에 사용되는 방향성 전기강판과 모터 및 발전기에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으로 나뉨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167Y
중소형 증권사들도 호황에 함박웃음…"내년엔 허리띠 조여야"(종합)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50079Y
메타버스·헬스케어·차량 소프트웨어…LG전자 신사업 투자 확대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502641
"2023년까지 반도체난…애플, 매출 타격 불가피"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59341i
중국 10월 주요 경제지표 호전에도…제조업 부진은 지속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 10월 산업생산이 작년 같은 달보다 3.5% 증가, 전월,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모두 웃돌음
- 소비 지표도 전월보다 올라감, 10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4.9%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590875
NFT로 11억원 번 美 디자이너..."내 9년치 연봉보다 많아"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158462i
원자재 호황에…광산업체 배당금, 코로나19 이전 수준 넘어선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57&aid=0001621663
한국 가계부채 GDP 넘어섰다…증가속도도 세계 1위
-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 규모가 가장 컸고 증가 속도도 가장 빨라
- 과거 그리스와 미국 경제위기 직전 상황과 우리나라가 구조적인 측면에서 유사성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22&aid=0003638313
유재석, 카카오엔터 스톡옵션·유상증자 참여 제의 거절…‘안테나 대표’ 유희열은 70억 투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08&aid=0004670771
아시아나 웃고 LCC 울고…항공업 3분기 성적 '화물'이 갈랐다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화물운송 전환으로 생존, 진에어, 제주항공 등 LCC는 적자의 늪에 빠짐
항공 화물 수요가 늘어난 이유??
-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산 등으로 화물 수요가 급등
- 글로벌 공급망 정체에 따른 항공화물 수요 증가
- 여객기 운항 감소에 따른 여객기 벨리 공급 부족 이유, 수송량과 운임이 동시에 증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374&aid=0000264559
LG생건 500억원 ‘울릉샘물’ 좌초 위기…환경부 ‘사업 불허’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1&aid=0003985574
美인프라·원전 겹호재에···몸값 뛰는 두산그룹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