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7 이슈정리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631721
코로나 내내 참았던 버핏…슬그머니 담은 2개 종목
1) 버핏, 로열티파마, 플로어 & 데코 매수
- 플로어 & 데코 : 코로나19를 계기로 집 리모델링 열풍이 불면서 작년 주가가 80% 급등
- 로열티파마는 지난해 6월 나스닥에 상장한 글로벌 신약 특허권 투자회사
- 버크셔해서웨이 주식 포트폴리오의 70% 이상, 애플, 뱅크오브아메리카,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코카콜라 네 종목
2) 마이클 버리
- 버리가 이끄는 사이언애셋매니지먼트 ARK이노베이션 ETF의 풋옵션 2355건과 테슬라 풋옵션 1만 755건을 모두 청산
3) '헤지펀드 거물' 데이비드 아인혼이 이끄는 그린라이트캐피털 인플레이션에 베팅
- 3분기 은에 투자, 금,은 등 귀금속 투자 상품은 인플레이션 헤지 상품
- 주택건설업체인 그린브릭파트너스, 인플레이션으로 미국 주택 가격도 상승
4) 조지 소로스
- 쿠팡 주식을 50만 주 매입
5) 데이비드 테퍼
- 인적자원관리 전문 회사인 얼라이트(ALIT) 주식 800만 주 매수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111634981
SK, 먹는 코로나 치료제 위탁생산
- 머크, 화이자와 협상 진행
- SK팜테코의 미국 법인을 통해 미국 화이자와 머크가 각각 개발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생산을 추진 중
- 유전자, 세포치료제 CMO 사업 계획도 함께 발표
---> 유전자, 세포치료제는 세포 유전자를 개량해 암, 유전병 등을 치료하는데 쓰는 개인 맞춤형 치료제
- 유전자, 세포치료제 CMO 시장은 이제 형성되는 단계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0681
시장원리 무시한 '원유가격 연동제' 8년 만에 폐지
- 흰우유용 1100원, 치즈용 900원, 가공유 가격 낮추고 수매량 확대
- 우유의 원료인 원유 가격이 수급 구조와 상관없이 생산비와 물가에만 연동돼 자동 인상되면서 한국산 우유의 가격경쟁력이 크게 훼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1071
"세금 더 걷혀도 적자인데 돈 더 풀라니"…기재부 부글부글
https://www.hankyung.com/car/article/2021111630261
롯데, UAM사업 출사표 던진날…현대차는 '연합군' 확대
- UAM이란?? -> 도심항공교통 시장
- 현대차는 대한항공 등과 손잡고 UAM계 '어벤저스' 구축, 롯데는 미국 비행체 개발업체 스카이웍스 에어로노틱스 등과 협력해 UAM 사업에 진출
- 버티포트와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 운영도 검토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0121
은행, 메타버스 딜링룸 열고 아바타 모델 채용
https://www.hankyung.com/thepen/moneyist/article/202111096103Q
최근 인플레이션 현상과 환율에 대한 영향 [서정훈의 환율노트]
- 미국 경제에서 기대인플레이션 + 실질금리의 구조를 통한 시장금리의 상승
- 백신이 도입된 이후 경제활동 재개, 자산거품 논란, 높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한 중앙은행의 긴축적 통화정책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빨라질 것
- 달러 수요자들의 자본비용을 높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달러 강세를 견인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111635087
"삼성 폴더블폰 기술은 못 따라가"…구글, 결국 무릎 꿇었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159001i
중국에 다 뺏기는 디스플레이…애플에까지 공급하는 BOE [강현우의 베이징나우]
- 중국의 엄청난 정부 보조금에 올라탄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시장을 야금야금 먹어가고 있음
1) 삼성과 LG를 이겨먹고 있는 BOE
- BOE, 패널 출하량 기준으로는 세계 1위지만 매출로는 아직 3위 밖
- 애플 아이폰13에 플렉서블 OLED 패널 공급, 아이폰14 공급도 거의 확정상태
- 대형 LCD 시장에서 작년에 BOE가 LG디스플레이 제쳐, 중국 TCL이 삼성을 제치고 처음으로 5위에 들었음
- 스마트폰용 소형 LCD에서도 BOE가 삼성을 앞섬
2) 미니 LED 기대주 싼안광전
- 중국 반도체 종목들로 구성하는 ETF가 중국 증시에서 상장히 많이 상장돼있는데, 각 ETF들이 빠짐없이 담는 종목
- 미니 LED라는 새로운 시장에 일찍 뛰어들었음
디스플레이???
LCD와 OLED로 구분
- LCD는 별도로 빛을 내는 광원 필요, OLED는 스스로 빛을 냄
- LCD는 다시 빛을 내주는 광원이 형광등이냐 아니면 LED냐
- LED는 다시 LED를 평판 뒤에 놓느냐 가장자리에 놓느냐
- 한국의 서울반도체도 미니LED 시장 확대에 큰 기대
3세대 반도체도 개발
- 1세대 반도체 실리콘, 규소 ---> 발열과 중량 문제
- 2세대 반도체는 비소화칼륨, 인듐 -> 환경 문제
- 3세대 탄화실리콘, 탄화규소 ---> 개발 중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1395i
"일단 모으자" 달러 쌓는 기업·가계…달러예금 875억달러 [김익환의 외환·금융 워치]
-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달러의 가치가 부각될 것이라는 유인, 테이퍼링이 진행될 것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161054i
日 슈퍼컴 '후가쿠', 美·中 제치고 2년째 세계 1위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60909i
공급·인력난 극복한 가격인상 카드 [조재길의 글로벌마켓나우]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630821
메타버스 열풍, IT기기·엔터까지 번졌다
- 상대적으로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은 하드웨어 기기에 관심을 가질 것
- 게임 엔터 콘텐츠 질주
- XR 기기 관련주도 관심
----> LG 이노텍, 메타플랫폼스, 애플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630811
주가 30% 빠진 철강株…"피크아웃 우려 과도"
- 내년부터 중국의 철강 수요 둔화로 실적이 꺾일 것이라는 우려
- 전문가들은 국내 철강업체를 둘러싼 구조적 위험 요인이 해소돼 내년에도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11161647e
"내년 더 오른다" vs "고점 신호 발견"…엇갈리는 집값 전망
- 11월 9일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매물이 전월 대비 6.7% 증가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62343i
'가전 반도체' KEC, 전기차 수혜주 뜬다
- 가전제품 시장 수요를 뛰어넘어 전기차, 클라우드 서버 등 전방 산업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
- KEC는 전세계에서 두 곳만 성공한 고전압 SiC 모스팻 기술을 확보, 기존의 Si 전력용 반도체가 아닌 두 가지 원소를 화합한 차세대 전력용 반도체 주목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5517
비트코인 6만 달러 하회, 10% 가까이 폭락…암호화폐 일제히 급락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2391
지난해 다주택자 → 1주택자 30만명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29527
삼성 美파운드리 2공장 테일러시?…오스틴 신청서 철회돼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181Y
GS에너지, UAE서 '블루 암모니아' 들여온다…연간 20만t 확보
- 블루 암모니아는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재활용하는 암모니아, 전 세계적인 탄소 감축 기조에 따라 주목받는 친환경 원재료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161Y
강방천 회장 "플랫폼에 주목…액티브 ETF 선보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1261
年 30% '폭풍성장'…백화점 가전 무서운 질주
- 제조사의 프리미엄 전략과 명품 상품군에 버금가는 대형 품목을 찾는 백화점의 '포스트 명품' 전략이 맞물렸기 때문
-하이마트, 전자랜드 등 가전 양판점의 입지를 위협하는 수준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0211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 베트남도 승인
- 대한항공은 올 1월 기업결합 필수 신고 국가인 한국, 미국, 유럽연합, 일본, 중국, 터키, 태국, 대만, 베트남 등 9개국 경쟁당국에 결합신고, 한 곳이라도 불허하면 못함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0071
은행 3분기까지 이자수익 33조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2696i
"한국은 트램 후진국…제도 정비 시급하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2734Y
[특징주] SKIET, 블록딜 여파에 5% 넘게 떨어져(종합)
- 블록딜이란?? 시간외 매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2437g
"2억원 육박해도 잘 팔린다"…테슬라 위협하는 車 뭐길래
- 리비안 대박!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32&aid=0003110561
코로나 이후 ‘전 세계 공급망 병목’ 일상화···“세계화는 동력 상실, 블록화 현상 커질 것”
- 비교우위와 최소비용을 바탕으로 구축돼온 글로벌 가치사슬이 코로나19 충격으로 부스러지면서 전 세계 공급망 충격이 단기간에 그치지 않을 것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421&aid=0005727937
[영상] 염화칼슘, '제2의 요소수' 되나…중국 '자원무기화'에 전세계 비명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374&aid=0000264683
[숫자로 본 경제] 3년 새 100배 늘었지만…빠르게 다가올 ‘바닥’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5&aid=0004629269
NFT에 中 판호 발급 기대…게임주, 일제히 '고공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