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2 이슈 정리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2134541
기술 하나로 세계 1위 올랐다…'주가 10배' 대박 난 기업
- 전기차 산업의 심장, 미쓰이하이텍, 금형 제조업체
- 반도체, 전기차 투톱, 반도체 리드프레임 제조, 세계 점유율 13%로 1위
- 모터 철심 부분인 전기차 모터코어 작년 310만대
- 머리카락만큼 얇은 강판을 성형해내는 기술력으로 주가 10배 오름
- 리드프레임이란 반도체 칩과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반도체 패키지 내에서 칩을 지지해 주는 기판 역할을 하는 반도체 주요 부품
- 전기차 모터코어
전기차에서 배터리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해 바퀴를 굴리게하는 모터의 철심 부분을 뜻함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2135981
[단독] 유진PE, 우리금융지주 지분 4% 인수한다
- 사외이사 추천권을 확보해 경영에도 참여 가능
- 우리금융이 대표적인 금리 인상 수혜주라는 점과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투자, 우리금융이 증권, 보험 등 비은행 금융 계열사를 추가로 인수해 성장동력으로 삼을 여력이 남아있음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5921
뮤직카우 '몸값 1조'…핀테크 혁명 시즌2
- 뮤직카우(조각투자), 캐시노트(매출관리), 와디즈(크라우드 펀딩), 뱅크샐러드(마이데이터), 보맵(인슈어런스), 핀다(대출중개) 등은 수십억 ~ 수백억원의 투자 유치 ---> 이제 2차 혁명에 진입
-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인 뮤직카우의 시장가치가 최대 1조원에 이를 것
- 핀테크 스타트업들은 최근 벤처캐피털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정보기술, 금융 전문가를 채용하고 있는 중
- '조각투자' 플랫폼, 대체불가능토큰(NFT), 크라우드펀딩, 대안신용평가
- 카사, 한우 투자플랫폼 뱅카우도 대표적인 조가구자 업체
- 코인플러그,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도 '규제 리스크' 해소
https://www.hankyung.com/car/article/2021112135451
차 반도체 공급난에…'20년 역사' 기업마저 문 닫았다
- 현대자동차에 루프랙을 납품하는 1차 협력회사 진원이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
- 반도체 공급난에 따른 자동차 생산 감소가 그 원인
- 전기차 전환에 미리 대비하지 못했기 때문
- 정부의 급격한 탄소중립 정책이 부품사 줄폐업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 자동차 부품사 10곳 중 8곳은 전기차 전환에 대비 못해....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5601
"텅 비었었는데"…'청담동 명품거리' 다시 살아난 이유
- 서울상권 중 나홀로 공실률 하락
- 글로벌 패션 회사들이 백화점 일변도의 전략을 버리고 소비자에게 직접 다가가기 위해 청담동 일대에 로드숍을 집중적으로 개점
- 명품 업계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이 직매장 방식의 진출을 추진
- 백화점은 소비자를 쉽게 만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수료가 높고 매장 공간이 한정돼 브랜드의 정체성을 표현하지 못한다는 한계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112136361
"1000만원 선지급+月 50만원" 파격 제안에 운전기사들 몰려든 곳
- 모빌리티 업체 '기사 확보전'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213051i
"美 테슬라의 유일한 적수는 獨 폭스바겐"
- 유일하게 폭스바겐만이 테슬라의 생산량을 추월할 것
- 폭스바겐은 최근 독일 볼프스부르크 본사 근교에 새 첨단기술 공장을 세우겠다고 함, 테슬라의 베를린 기가팩토리에 맞서기 위해서..
- 지난해 전 세계 승객 시장의 3%에 불과했던 전기차는 이번 분기에 11.4%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
- 테슬라의 전기차 생산량이 지난 5년새 연평균 71%씩 증가
- 모델이 너무 많고 생산공정이 여전히 복잡하다는 이유가 리스크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111191066H
아이돌로 7년을 살았다…그래도 '해체'는 여전히 악재일까 [연계소문]
- 공정거래위원회가 연예인 표준계약서의 최대 계약 기간을 7년으로 정함에 따라 활동 7년째가 되면 팀의 생사가 걸린 중대한 결정이 이뤄짐... 고로 7년은 소속사에게도 아이돌에게도 중요한 분기임
- 팀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으면 이제는 과거에 비해 더 빠르게 배우, 솔로, 방송인 등으로 개인 활동에 대한 방향성을 잡기 시작
- 최근에는 팀에 대한 멤버들의 애정도가 크고, 향후 재결합 가능성 등을 열어두면서 '해체'라는 말보다는 '해산'이라는 단어를 택하는 경우가 많다
ex) 소녀시대, 티아라, 2am
- 엔터사들에게는 아티스트가 가장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에 팀의 해체가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 큼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2134521
아바타에 샤넬·구찌 입힌다…"명품업계 이익 25% 늘 것"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212784i
日 기술, 세계 최고 자부했는데…'디지털 후진국' 추락 이유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 2021년 세계 디지털경쟁력 순위, 일본은 64개국 가운데 28위
-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인재가 부족해 시대에 대응하는 스피드가 결여돼 있음
---> 디지털 및 테크놀로지 관련 기술에서 62위, 빅데이터 활용능력은 63위, 국제경험과 기업의 민첩성 등 2개 항목에서는 64위로 꼴찌
---> 디지털과 IT기술에서 최하위권으로 처진 원인은 투자부족
ex) 2019 일본의 ICT 산업 부문 연구개발비는 2008년보다 10% 감소 반면 미국의 ICT 연구개발비는 2008년도보다 2배 늘음
- 인재, 수평적인 회사 풍토, 스피드, 스케일을 일본의 패인으로 지적
- 구글 경쟁력의 원천은 스피드
- 스케일의 차이 --> 일본 회사 매출 10% 증가, 이익률 5% But 구글은 '10배 혁신'같은 큰 스케일을 권장
- 뉴노멀 시대가 요구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은 누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트랜스포메이션에 성공하느냐 반면 일본은 장인정신,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좋으나 혁신이 느려진다는 단점이 있음
- 최근 서비스업의 주류는 애자일 개발방법론, 일단 기본 기능을 출시한 뒤 다수의 작은 기능을 계속해서 추가하고 업데이트하는 방식
------> 일단 쳐해라!가 그 의미
- 한국도 자만할 처지가 아님,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폰 보급률과 인터넷 속도를 내세우면 한국은 여전히 디지털 최강국이라고 자위???
---> AI와 빅데이터가 플랫폼과 접목하는 시대, 하드웨어 인프라의 중요성은 낮아지는 추세, 대한민국은 디지털경쟁력 12위, 대만에게 역전허용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1191139H
"잡주 취급받다가 '귀한 몸' 됐다"…유재석도 투자한 '이 주식'[연예 마켓+]
- 이전까지 '잡주'로 분류되던 '엔터, 미디어주'가 K-콘텐츠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제대로 된 평가를 받게됐다."
- 하이브, 간판 그룹인 BTS 멤버들에게 지분 1.41%에 해당하는 47만 8695주 증여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11213118e
현대건설, 7600억 규모 페루 첨단 공항 건설
- 친체로 신 국제공항은 세계문화유산이자 잉카 유적지인 마추픽추의 새로운 관문 공항이 될 전망
- 연간 570만명 수용이 가능한 국제공항 터미널 및 활주로, 관제탑, 계류장 등 최첨단 공항을 건설하게 됨
- 47개월의 공사기간에 설계 디자인과 시공을 동시에 진행하는 패스트트랙 방식으로 진행
- 현대건설 중남미 시장에서 다수의 대형 인프라 사업을 건설 중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4841
뮤직카우 저작권 수익률 年 36% … 2030 새 투자처로 뜬다
-- 개돼지들이 욕하면 그 회사를 면밀히 분석해보자, 개돼지 기법은 과학이다.
- 저작권은 다른 자산과 달리 사회,경제 이슈에 따라 시세가 크게 변하지 않는게 특징
- 금융과 문화, 플랫폼 세 가지 키워드를 연결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5581
'블프 대목' 해외 직구족 잡아라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5931
[포토] 김장철 앞두고 배추 품귀 1년 전보다 가격 두 배 뛰어
-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3.7% 감소, 가을장마로 배추가 썩는 배추무름병, 가을한파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4471
"테이퍼링 가속…금리 올려야" Fed 내 '매파 목소리' 커진다
- 다음달 FOMC 회의에서 테이퍼링 속도를 올리는 것에 대해 논의하는게 적절
- 최근 심각해지는 인플레이션이 그 원인!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159Y
전환사채 악용 막는다…12월부터 최대주주 콜옵션 한도 제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080Y
"국내기업 57%, 4차산업혁명 준비 부족하다 느껴…지원 필요"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3075Y
"경영학자 10명 중 6명, 우리나라 경영환경 선진국 대비 열악"
- 기업 규제 부담, 고용 비용 증가. 무역 관련 불확실성
- 현시점에서의 중요한 이슈
----> 글로벌 공급망 개편, 디지털 전환 가속, ESG 경영, 소비 트렌드 변화 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2807Y
'그 맥주' 사러 편의점 찾아간다…수제 맥주 전성시대
- 노재팬 운동,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홈술' 시장 성장, 개성을 추구하는 MZ세대의 소비 취향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2772Y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흑자인데…높아지는 유가에 '긴장'
- 국제선 유류할증료 인상
-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재무적 불안정성도 불안 요소
---> 부채 비율이 작년 1171.55%에서 3802.46%로 급등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12759Y
中의존도 높은 이차전지 공급망 긴급점검…원유수입 다변화 지원 연장
----> 2차전지 국내 소재 기업 떡상, 디스플레이나 다른 쪽도 고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202135Y
'한국의 아마존'이라더니…날개없이 추락하는 쿠팡 주가
- 실적이 부진한 데다 전망도 밝지 못함
----> 영업손실 규모가 작년 동기보다 9887만 달러 늘어남 3억 1천 511만 달러
-----> 상장 이후 매 분기 3천억원이 넘는 적자를 내는 셈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213278i
포드-리비안 '전기차 동맹' 깨졌다
- 리비안의 시가총액이 포드와 제너럴모터스를 넘을 정도로 급성장하자 포드의 위기감 커짐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2136701
사모펀드 JC플라워 "美 핀테크 시장 거품 주가 하락 경계해야"
- 일반 기업의 10배에 달하는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함, 거품이 많이 껴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5&aid=0004630879
'비트코인, 달러 건들지마' 美 정계, 가상자산 견제 이어져
- 힐러리 클린턴 "가상자산,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 떨어뜨려"
- 재무부, 연은 총재, 뉴욕 시장 : 달러의 위상은 견고하다!, 뉴욕시장 : 난 비트코인으로 월급 받을거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1&aid=0003987695
삼성, 테슬라·MS와 '반도체 동맹' 주목···파운드리 투자 최대 50조 될수도
- 미 반도체 2공장 현안이 사실상 마무리, 그 다음 단계로 대규모 M&A 추진
- MS, 아마존 등과 신사업 논의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4882065
"NFT 열풍 게임주 이정도였나"…위메이드 의장, 주식 부자 톱10 진입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5090819
박스피 뚫고 랠리…내년 코스피 3600선 간다
- 쇼티지 해소, 인플레이션 완화, 중국경제
- 주요국 재정부양과 이연소비 모멘텀 부활이 글로벌 매크로 되돌림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코스피 상단의 경우 3400선까지 확장 가능
- 대다수는 상저하고 흐름 예측
- K - 콘텐츠, 2차전지 기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5090777
전셋값, 내년에 더 오른다…월세화도 ‘속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1&aid=0003987739
치솟는 세금·이자·월세···가계, 쓸 돈이 없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4&aid=0004743098
한화, 2차전지 배터리 장비사업 영토 넓힌다
- 조립 공정에 해당하는 노칭과 스태킹 장비 개발을 마침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277&aid=0005002897
서울 월세 거래량 역대 최다…주거비 부담 커지는 무주택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11&aid=0003987514
"테슬라 시동이 안 걸린다" 앱 한때 먹통
- 자율주행차의 서버 문제에는 어떻게 대처할까???? 그게 핵심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18&aid=0005090773
중국 출생률 43년만에 최저…'데드크로스' 현실화하나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23&aid=0003654489
“우주선 먹고 살란 거냐” 스페이스X 기지 반대 나선 인니 원주민들
- 적도 가까이서 우주선을 쏘면 지구 자전에 의한 회전력을 최대로 받을 수 있어 적은 연료러 큰 선체를 우주로 보낼 수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22&aid=0003640108
美 이어 英도 中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