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3 이슈정리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120216771
목사 부부 거짓말에 270명 연쇄 접촉…'오미크론 n차 감염' 시작됐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120216831
수도권 사적모임 10명→4~6명 축소 검토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216821
포스코케미칼, GM과 손잡는다
- 북미에 양극재 공장 건설, 연 9만t 양극재 공급
- 국내 배터리 소재사가 글로벌 자동차사와 합작사를 설립
- 2024년부터 하이니켈 양극재를 얼티엠셀즈에 공급
- 포스코가 그룹 차원에서 리튬, 니켈, 흑연 등 2차전지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점도 경쟁력
- 이날 국내 최초로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 시작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120216841
608조 초슈퍼 예산…대선 돈풀기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4991
"안 오른 게 없다"…11월 소비자물가 3.7% 상승, 10년 만에 최고
- 농축산물, 국제유가 치솟고 위드 코로나에 외식물가도 껑충
- 2개월 연속 3%대 상승
- 농축수산물 7.6% 상승
- 공업류 5.5% 상승
- 코로나19 재확산이 변수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215981
中 '전기차 맏형' 제친 샤오펑…주가 쾌속질주
- 알리바바와 샤오미가 투자, 알리바바와 차량 결제 및 자율주행기술, 샤오미와는 디지털 차량 키 기술 협업
- 평균 가격이 25만위안을 넘지않는 저렴한 모델
- 중국 전기차 3대장 중 인도량 1위
- 플라잉카를 2024년부터 양산할 계획
- 아직 적자를 보고 있는게 약점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216321
새 임원 30%나 늘린 SK…4대 성장산업 '딥 체인지' 승부수
https://www.hankyung.com/thepen/moneyist/article/202111224347Q
대한민국이 중국과 '맞짱' 뜨려면…[조평규의 중국 본색]
- 3차 역사결의에는 문화대혁명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2차 역사결의에서 강조했던 '개인숭배반대'와 '집체영도'라는 표현이 빠짐, '중국몽' 실현
- '북극항로'를 매개로 러시아를 우리의 전략적 파트너로 삼자??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29363i
나스닥 +1.8%에서 -1.8%... 그래도 산타랠리??
- 오미크론 변이보다는 Fed의 빠른 긴축 전환이 원인, 시장은 앞으로 6~7개월 동안 660억 달러의 추가 유동성이 나올 것으로 예상, 빗나간게 크다.
- 그럼에도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
1. 저가 매수세 유입
- 30일 소매 투자자 자금 22억 2000만 달러가 증시에 순유입
2. 금리 세 번 인상은 예상된 것
3. 미국 경제는 강하다.
- 11월 민간 고용 증가 50만명 증가'
4. 인플레 압력 약화?
- 노동과 물류 환경이 약간 개선되는 징후
근데 왜 떨어짐??
1. BJ 파월 또 ㅈㄹ
- 매파적 자세 계속 유지
2. 뉴욕연방은행 윌리엄스 가세
- 경제 반등은 느리게 물가는 급등!
3. 미국 내 오미크론 확진자 발생
리스크&호재
1. 오미크론이 얼마나 치명적인지에 따라 달라질 것 치명률이 낮다면 펜데믹 종식도 곧이라는 것
2. FOMC 테이퍼링 관련 결정
3. 부채한도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21021i
잭 도시 떠나자마자…트위터 쓸어담은 캐시 우드
- 트위터의 NFT 관련 사업도 커질 것이라는 기대
- 저가 매수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4681
제주반도체 "세계 1위 팹리스 기업 될 것"
- 메모리반도체 설계, 개발, 웨이퍼 생산량 '세계 5위'
- 3분기 영업이익 166% 급증
- 대기업들은 생산 안하는 저전력 저용량 반도체에 집중
- 반도체가 제주 전체 수출의 50~60% 책임
- IoT에서 필요한 반도체???? --> 바로 저전력 저용량 반도체!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824Y
中정부 "화학비료 생산용 석탄 보장" 지시…요소 생산 확대되나
- 중국 정부가 화학비료 생산을 독려하고 나선 것, 대대적 석탄 증산을 통해 전력 대란 해소라는 급한 불
- 요소 수입 정상화 가능?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6101
REC 기준價 산정방식 바꾸려던 정부…업계 강력 반발에 시행시기 1년 연기
- REC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 발전 공기업들은 정부 정책에 따라 전체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채우거나 민간 신재생 발전업체로부터 REC 사들여야 함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5121
포스코인터, 리비안에 부품 공급
- 리비안은 최근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전기차 스타트업, 테슬라가 승용차 라인업에 집중한다면 리비안은 픽업트럭이나 스포츠유틸리티차량을 주력 모델
- 아마존이 2030년까지 리비안 전기차 10만 대 구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6061
당정 갈등에 표류하는 '수소法'…기업·생태계 고사 위기
-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 발전사들이 일정 비율 이상의 수소발전을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에서 분리해 별도의 의무구매 대상으로 삼은 게 핵심
- 양이원영 더불어터진당 의원 등은 블루수소를 청정수소에 포함한 것은 꼼수, 그린수소만 청정수소 범주에 넣어야 한다.
- 그레이수소를 의무구매 대상에 포함, 청정수소 비중 확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법안에 담기지 않은 것도 문제
- 수소 생태계 구축에 동참하려고 나섰던 기업들에게 그 피해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229g
제네시스 미국 판매 '435% 급증'…현대차그룹, 美서 선방
- 미국 자동차 시장이 약 20% 위축, 현대차그룹의 판매량은 9% 감소 ----> 현대차 미국 선방의 비밀! 제네시스의 상승세
- 친환경차 판매 상승세도 눈에 띔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3656
"대형 메기의 등장"…카카오페이, 디지털 손보사 본인가 신청
- 디지털 손해보험사를 출범하면 플랫폼 빅테크 기업이 보험업에 진출한 최초의 기록을 씀 --> 현직 보험팔이 영업맨들의 미래는????
- 카카오톡, 카카오페이를 통한 간편 가입, 플랫폼을 통한 간편 청구, AI를 활용한 신속한 보험금 지급 심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316Y
"오미크론 불확실성 길어지면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강화"
- 치사율이 높지 않다면 금융시장은 기존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
-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는 경우 물가는 오르고 경제는 불황인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높아짐, 중장기 금리 하락 압력
- 미국 연준의 금리 상승은 중장기적으로 완만할 것
- 펀더멘털 회복 기조도 함께 살펴볼 것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1245Y
BTS 멤버들, 하이브 주식 팔았다…100억원어치 장내매도(종합)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120222697
[속보] 양도세 기준 상향·가상자산 과세유예…소득세법 본회의 통과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9684i
로블록스, 초딩게임 넘어 메타버스 적극 진출
- 소니뮤직, 나이키, 현대차 등이 로블록스와 협업
----> 한국, 미국 메타버스 관련주 줄줄이 급락... 급등했으면 떨어져야지!, 하지만 이건 다시 불탈 수 있으니 횡보시에 분할 매수 추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29684i
중국 "美 우회상장 위한 VIE 방식 규제 안할 것"
- VIE : 외국인의 중국 기업 주식 보유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중국의 법규를 피하기 위해 고안된 구조
----> 중국 내 기업 대신 케이맨제도 등 조세피난처에 세운 페이퍼컴퍼니를 상장시키는 것, 즉 알리바바, 징둥닷컴, 텐센트 등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 대부분 이런 방식으로 해외 증시에 상장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215881
Fed "물가상승이 경기회복보다 빨라…인플레, 내년 말까지"
- 델타 변이 확산에도 대부분 지역에서 레저와 접객 활동이 활발, 자재 및 노동력 부족에도 제조업 성장이 견고해짐
- 일부 지역에선 강력한 수요에도 공급망 파괴와 노동력 부족으로 성장이 제약을 받는 중
- BJ 파월 "인플레이션 압력이 내년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5098611
‘불장’에 美 경영진 주식 매도 규모 역대 최대 기록
- 차익실현, 세금절약이 그 이유
---> 내년 1월 1일부터 7%로 부과되는 워싱턴주의 자본이득세 고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29&aid=0002709233
신입·30년 근로자 임금격차 일본보다 크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374&aid=0000266583
“K-바이오 투자는 ‘카푸치노’와 같다”
-지난 한 해 창업한 바이오 스타트업 300여 개
- 올해 제약 바이오 관련 기술 수출 계약금액은 11조원으로 추산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1&aid=0003992436
테마 vs 실적···게임-반도체株 '시소게임'
- 반도체 투자 심리 개선에 따른 자연스러운 순환매, 최근 증시에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한쪽의 자금을 빼서 다른 쪽으로 갈아타는' 움직임이 두드러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5099095
'아휴 추워' 겨울 추위 시작하니…온기 도는 '추위 관련주'
- 에너지 공급 : 한전, 가스공사
- 보일러 : 파세코, 신일전자, 부스타, 경동나비엔
- 의류 : 노스페이스, 영원무역홀딩스, 에스제이그룹
- 식품 : CJ씨푸드, 사조대림, SPC 삼립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4&aid=0004749511
CATL '제2 헝다'되나… 무리한 사업확장에 유동성 위기론
- 현재의 확장 추세, 정부와 관계, 배터리 안전, 유동성 등에서 어느 한 고리라도 끊어지면 톱니 전체가 흔들리는 위험
- 현재 위기는 무리한 확장, CATL은 나트륨이온전지, 자동차 보험, 완성차 업체와 합작 등의 시장으로 뛰어들 수 밖에 --> 투자 많이 끌어와야지!
중요도 & 평가
- 오미크론 변이,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아마도 치명율이 낮을 것이라고 예상... 불확실성에 주목할 것
- BJ 파월 "인플레이션 때려 잡겠다 연설!", 예상보다 빨랐다는게 정설 그러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생각보다 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
- 스태그플레이션 : 경제 불황은 계속되는데 물가는 계속 오르는 현상
- 암호화폐 과세 유예, 양도세 완화 ----> 암호화폐 과세 1년 유예는 코인 거래소에게 이득이지 않을까? 비덴트, 우리기술투자, 카카오
- 포스코 주목! 리비안 협력, 중국 의존도 높은 인조흑연 제조에 투자, GM과 배터리 협력
---> 최근 완성차 업계에서 배터리 내재화 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소재 관련 회사들이 뜨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