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12.07 이슈정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2101
"조금이라도 아프면 아예 뽑지 않겠다"…취준생들 '날벼락'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691251
미국 기술株 폭락에도…마벨은 폭풍질주
- 미국 반도체 기업 마벨테크놀로지 그룹, 3분기에 호실적, 데이터센터 반도체, 5G 이동통신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의 성장성이 두드러진게 주요 상승 원인
- 마벨의 주력 사업은 데이터센터 부문, 클라우드 업체가 데이터센터 확대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관련 기업을 인수하면서 빠르게 성장,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이 약 5억 달러
- 5G 반도체는 미,중 갈등으로 화웨이 대체, 차량용 반도체 사업도 확장할 것
- 마벨은 한국 국민연금이 사들인 해외주식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2069346Y
헝다위기·경기급랭에 中 지준율 인하…223조원 유동성 공급효과
- 15일부터 은행 지급준비율을 0.5% 인하, 중국 금융권의 평균 지준율은 8.4%로 낮아짐
- 1조 2천억 위안의 장기 유동성이 공급될 것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120691081
인천 넘어 안산·진천 번진 오미크론…접촉의심 1400명으로 폭증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0861
다시 '냉혹한 현실' 속으로…해외출장 나선 총수들
1) 이재용 삼성회장, UAE,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IT, 5G 분야 협력방안 논의
2) 정의선 회장, 미국 방문, UAM, 워싱턴DC 미국 내 주요 인사들과 회동
3) 최태원,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 방문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20690791
경쟁에 단련된 '6% 인도계' 실리콘밸리 점령하다
- 치열한 경쟁이 CEO 키워, 살아남는게 강자인 인도 생존시스템, 인도형 혁신 '주가드'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20690791
내년 탄소배출권 시장 전망과 대응전략 [김태선의 탄소배출권]
- 2050 탄소중립에 이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의 상향 조치로 환경 에너지 분야는 그 어느 때보다도 관심이 높은 상태
- 국제에너지기구(IEA) 2050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기여에 있어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탄소포집 및 활용 저장 기술, 연료전환 순으로 감축 프로젝트 라인업을 제시
- 신재생에너지시장(REC)과 탄소배출권시장(KAU)를 중심으로 한 시장 매커니즘의 활성화가 절대적
- 유럽탄소배출권 가격은 연이어 사상최고치를 경신, 연초 대비 122.6%의 높은 상승세 기록,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상향조정, 화석연료 가격급등, 계절적 요인
- RE100, REC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68023i
헝다는 폭락, 컨트리가든은 급등…엇갈리는 중국 부동산주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1) 헝다
- 채무 보증 의무를 이행하라는 요구를 받았지만 상환이 어려울 수 있다.
- 공식 디폴트를 확정하는 유예기간 30일이 이 날로 끝남
2) 비구이위안
- 협력사 자금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유동화증권을 곧 발행할 계획
- 부동산개발업첻르의 채권 발행 규제가 완화되는 추세, 당국이 부동산개발업체들의 적절한 자본 조달을 지원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66919i
'인·디·오'가 쥐락펴락할 세계 증시 [정인설의 워싱턴나우]
- 인플레이션, 헝다 디폴트, 오미크론으로 변동성 커질 듯
- 주 초반, 헝다의 디폴트
- 주 후반, 미국, 중국의 인플레이션 지표
- FOMC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691751
'SMR·풍력 엔진' 단 현대건설 "본격 재평가"
- 작년 주택 분양 물량이 급증, 올해 중반부터는 해외시장에서 발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에 플랜트 사업 비중이 높은 종목이 달림
- 현대건설이 주목하고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 해상풍력, 수소
https://www.hankyung.com/thepen/moneyist/article/202111240892Q
세계 최초로 수소사회 진입 선언한 日, 눈여겨볼 기업은? [지민홍의 일본주식 가이드]
-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는 보편적 자원,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자원, 에너지 공급이 불안정한 신재생 에너지의 단점을 보완 ---> 수소의 장점
- 액화수소, MCN 기술 ---> 액화수소 : 가와사키중공업, 이와타니산업
MCN : 치요다호공건설
암모니아 : IH, 우베코오산, 도쿄가스
- 종합상사 : 이토추상사, 미쓰비시상사, 미쓰이물산, 스미토모상사, 마루베니
----> 그린수소로 나아가며 수소의 제조/수송 프로젝트에 앞장
- 모빌리티, 연료전지(가정용, 수송용, 발전용) : 도레이, 도요타, 파나소닉
- 정부와 기업이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으며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노력 중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566Y
영암 닭농장서 고병원성 AI 확인…전국 산란계 농장 긴급점검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473Y
"전체 자동차 중 0.8%는 전기차"…전력거래소, 보급현황 분석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1781
카톡·토스처럼…보험사들 '디지털 전환' 속도
- 비대면, 디지털, 하나의 앱에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원앱'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347Y
동서발전, 에너지전환 가속화…신재생에너지·신사업 조직 확대
- 해상풍력부, 신재생개발권역센터, 수소사업부 보강
- 기후환경실은 '탄소중립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089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소형발사체 기술 개발한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1801
"제2 캐시노트 키우자"…'될성부른' 핀테크 발굴 나선 은행들
- 서울옥션블루, 미술품 공동구매 플랫폼 SOTWO 운용, NFT 활용
- 핀테크 스타트업은 송금, 결제, 투자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90401
'강골' 정준호 신임 대표 '올드한' 롯데百 확 바꾸나
- 롯데백화점의 문제점을 내부적으로는 경직된 조직문화, 대외적으로는 세련되지 못한 이미지를 꼽음
- 젊은 조직, 럭셔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8950Y
대명소노시즌 "두나무 주식 50억원어치 취득"
----> 두나무가 상장한다면 그 미래는?????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8713Y
[특징주] 코오롱생명과학, '인보사' 추가 임상에 신고가(종합)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068612Y
㈜두산, 원자력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 참여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691241
"美소형주 오미크론 타격 대형주의 두배"
- 대형주 중심의 S&P500 3.5% 하락, 중소형주 2000개 러셀2000 7.4% 급락
- 사업 다각화 수준이 낮은 소기업은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시기를 버틸 역량이 부족
- 소기업의 수익률이 대기업보다 높아질 것이란 이유가 호재
- 내년 미국 국내총생산이 4% 이상 증가하고 채권 금리도 오르는 데 따라 러셀 2000지수는 9% 상승 예상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678925
美 24살 여성, NFT 통해 10개월 사이 3억원 수익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0671815
"美 내년엔 소형주가 대형주 앞설것"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421&aid=0005765245
[뉴스잇(IT)쥬]'새출발' SK스퀘어, '메타버스·블록체인' 찜했다
포커스
- 중국 헝다발 디폴트.... 헝다발 영향은 이미 예견된 사태라 충격이 덜할까?
- 중국,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인플레의 영향???
- 반도체 관련주 강세, D램 불황일거다 라는 예상은 쏙 들어감,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의 강세
- 경제 신문에서 수소 언급 늘어남??? ---> 그럼 수소??????
'이번 주의 이슈 정리 및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9 이슈 정리 (0) | 2021.12.08 |
---|---|
12.08 이슈정리 (0) | 2021.12.07 |
12.03 이슈정리 (0) | 2021.12.02 |
12.02 이슈정리 (0) | 2021.12.01 |
11.25 이슈 정리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