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탈중앙화 자율조직 DAO에 대해서 알아보자
1. DAO의 정의
탈중앙화자율조직이라는 뜻, 중앙화된 시스템 없이 개인들이 모여 자율적으로 의견을 제안하고 투표하는 등의 의사표시와 참여를 통해 다수결로 의결하고 결정하여 운용되는 조직을 의미
--> 사회는 중앙화된 시스템이 존재, 정부 기관도 그렇고, 기업도 그렇고 누군가가 의결해야 돌아가는 사회임, 즉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조직들은 개인들의 의견을 참고만할 뿐 중앙화된 시스템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는 것
--> 반대로 DAO는 자율적이고, 원제작자를 포함해 외부 인간의 개입없이 투명하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조직
2. DAO의 구성요소
개발자 : DAO라는 자율조직 시스템을 설계한 개발자들
제안 : 플랫폼에서 제안을 하는 제도, 토큰 구입자 혹은 계약인들이 제안할 수 있음
투표 : 제안의 실행여부를 결정하는 투표로 주주들이 하는 투표이며, 사람 수가 아닌 토큰 수에 따른 과반수를 원칙
주주: 토큰을 구매한 투자자들이며, 가진 토큰의 수에 따라 투표권을 행사함
계약인 : DAO에 제안하기도 하고 투표결과를 수행하는 그룹
중재인 : 코드가 할 수 없는 부분들을 이행하는 역할, DAO에 등록되고 eth를 받음
3. DAO의 작동방식
- DAO 작동을 위한 규칙들이 스마트 컨트랙트로 코딩되며, 규칙이 정해진 후에는 자금 조달이 진행, 사용자들은 해당 DAO에 투자함으로써 투표권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그 투자 대상인 토큰이 있어야 하며, 동시에 그 토큰은 조직에서 지출하거나 보상으로서 사용
- 자금이 조달되고 DAO가 배치되면 그 때부터는 완전히 독립적인 자율화 단계가 된다. 누구나 코드를 볼 수 있고, 모든 규칙과 거래, 투표들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투명하고 변경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조직처럼 부패될 수가 없다.
- 이 단계부터는 자금의 사용처와 방법 등 모든 결정들이 제안과 투표를 통한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DAO에 투자한 주주들이 제안하고 투표할 수 있다.
4. DAO의 장점
- 완벽한 형태의 DAO는 모든 투자자들에게 기회를 주고, 계층 구조가 없기 때문에 누구나 좋은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모두가 이를 공평하게 고려할 수 있다.
- 블록체인의 특성을 가져 익명성과 탈중앙성이 확보되어 P2P, 공유경제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 강점을 보일 것
- 규칙과 거래들이 블록체인에 기록되기 때문에 완벽히 투명
- 이러한 방식을 통해 중앙화된 기존 조직 운영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5. DAO의 단점
- 대중에게 중요한 재정상 결정을 맡기게 되면 어떤 이익도 내지 못할 것이라는 꽤나 보수적인 평가 ----> 돈을 굴릴 줄 아는 사람이 있어야 잘 굴러가는데 개돼지만 있으면 돈 다 잃는다.
- 코드가 잘 짜여있다면 문제 없음! DAO 배치 이후로는 코드를 개입할 수 없기 때문에 완전치 못한 DAO에서는 버그나 해킹 사례를 막을 수 없다.
---> 해킹해서 내가 갖고 있는 DAO 토큰이 어디론가 갈 수 있다.
- 투표율이 저조하면 해당 투표건은 무효, 현재는 시세차익 노리고 온 사람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투표율 부진 가능성이 높다
- 최초의 DAO 배치에서 자금을 조달한 이후로는 투자 증자나 투자 유치가 어렵다.
- 첫 번째 항목과 비슷한 내용으로 전문 경영인, 엑셀러레이터, 투자심사역 등 기존의 조직들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이 부족할 수 있음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 이코노미스트와 타임지로 영어를 공부해보자 Newspresso! (0) | 2022.01.19 |
---|---|
웹 3.0 정리 (0) | 2021.12.27 |
감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12.18 |
소형모듈원전(SMR) 정리 (0) | 2021.12.12 |
데이터 센터와 마이 데이터 (0) | 2021.12.10 |